‘가족 돌봄 청년’이라는 말이 생겨났다. 아픈 가족을 돌보는 청소년·청년을 일컫는 용어인데, 정부가 올해 2월 이들에 대한 지원 대책을 발표하면서 이 말을 세상에 내놓았다. 앞서 지난해 11월, 22세 청년이 병간호 부담 때문에 아버지를 죽음에 이르게 한 사건이 주목을 받으면서 정부는 빠르게 대책을 마련했다.
‘가족 돌봄 청년’이라는 말은 그동안 우리 주변에 늘 있었지만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았던 이들을 보이고 들리게 한다. 당사자 입장에서 말하자면 또래들에게 자신의 상황을 쉽게 설명할 수 있고, 더는 어른들에게 효녀·효자라고 불리지 않을 수 있는 말이다. 아픈 가족을 돌보는 일은 어린 친구들 사이에선 낯선 일이고, 그래서 또래들 사이에서 고립된다. 거꾸로 어른들이 효녀·효자라고 칭찬을 하는 건 당사자들이 더 무거운 짐을 짊어지게 한다. 가족이기에 당연히 책임지라는 강요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. 이제 '가족 돌봄 청년'이라는 말이 생겼으니 아픈 가족을 돌보는 청년이 자신의 문제를 풀 수 있는 실마리가 마련됐다고 볼 수 있다.
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걱정도 된다. '가족 돌봄 청년'은 영 케어러(young carer), 즉 어린 돌봄자를 번역한 말이다. 가족 돌봄 휴가, 가족 돌봄 휴직 같은 기존 용어를 참조해 만들었기에 원어에 없는 ‘가족’이라는 단어가 들어갔다. 돌봄이 이제 막 ‘가족’을 넘어 ‘사회’의 책임이라는 합의를 이뤄가고 있는데, 이 용어가 오히려 돌봄에 대한 가족 책임을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지 우려된다. 고령화와 저출생이 계속 진행되고 가족 규모가 지속해서 축소되면, 혈연이나 혼인으로 맺어지지 않은 이들끼리 돌보는 경우도 지금보다 훨씬 많아질 수 있다. 그래서 ‘가족’을 붙이지 않고 ‘돌봄 청년’이라 부르는 게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. 어쨌든 공식 용어가 생겼다는 것 자체는 환영한다. 이 사회가 아픈 이들을 돌보는 청소년·청년의 존재를 인정...
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22415?cloc=dailymotion